맨위로가기

블라다스 체슈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다스 체슈나스는 카누 선수로, 1972년 뮌헨 올림픽 C-2 1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또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1979년 서독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사라진 후 소련으로 돌아가면서 망명 및 납치 논란에 휩싸였다. 소련은 그가 자발적으로 귀국했다고 주장했으나, 서독은 납치되었다고 주장했다. 2002년 인터뷰에서 체슈나스는 자발적으로 돌아갔지만, 망명에 대한 보복으로 중노동 위협을 받았다고 밝혔다. 선수 은퇴 후에는 리투아니아 세관에서 근무하며 훈장을 받았고, 연금을 수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블라다스 체슈나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약 폴로 픽토그램
남자 카누 경기
원어 이름Vladas Česiūnas
출생일1940년 3월 15일
출생지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우나스 주 요나바
사망일2023년 1월 16일
183cm
몸무게83kg
경력
스포츠카누 경기
클럽디나모 빌뉴스
올림픽 메달
1972 뮌헨금메달, C-2 1000m
세계 카누 선수권 대회 메달
1973 탐페레금메달, C-2 10000m
1974 멕시코시티금메달, C-2 1000m
1974 멕시코시티금메달, C-2 10000m
1975 베오그라드금메달, C-2 10000m
1973 탐페레은메달, C-2 1000m
1971 베오그라드동메달, C-1 1000m

2. 스포츠 경력

체슈나스는 카누 선수로서 1972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2][3][4] 및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 다수 메달 획득[5][6]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2. 1. 올림픽

1972년 뮌헨 올림픽 C-2 1000m 종목에서 유리 로바노프와 함께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2][3][4]

2. 2. 세계 선수권 대회

체슈나스는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5][6]

연도대회종목메달
1971년1971년 ICF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C-1 1000m동메달
1973년1973년 ICF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C-2 10000m금메달
C-2 1000m은메달
1974년1974년 ICF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C-2 1000m금메달
C-2 10000m금메달
1975년1975년 ICF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C-2 10000m금메달


3. 체시우나스 사건

1979년 서독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 관중으로 참석했던 체슈나스는 행사 도중 갑자기 사라졌다.[3] 이 사건은 당시 소련 출신 유명 인사들의 서방 망명이 잇따르던 시기에 발생하여 주목받았다.[3][7][8]

체슈나스의 실종을 두고 서독소련의 주장은 엇갈렸다. 서독 측은 체슈나스가 KGB 요원들에게 납치되었다고 주장한 반면,[7] 소련 측은 그가 서독 여성에게 속아 마약을 투여받았고 반공주의자들의 압력을 받다가 자발적으로 귀국했다고 반박했다.[3] 특히 서독의 연방 검사는 체슈나스가 두개골 골절 상태로 감금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7]

일각에서는 소련이 체슈나스의 신병 확보에 민감했던 이유가 그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을 앞두고 소련의 조직적인 도핑 실태를 폭로하는 책을 출판하려 했기 때문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7]

결국 체슈나스는 본의 소련 대사관을 통해 소련으로 돌아갔다.[3] 이후 2002년 인터뷰에서 그는 자발적으로 귀국했지만, 망명 시도에 대한 보복으로 소련 당국으로부터 15년간의 중노동 위협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사건으로 그는 세관원 직위에서 해임되고 어린이 스포츠 학교 코치로 강등되는 불이익을 겪었다.[9]

3. 1. 망명과 납치 논란

1979년 서독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 관중으로 참석했던 체슈나스는 행사 도중 사라졌다.[3] 이 사건은 당시 수석 무용수 알렉산드르 고두노프, 레오니드 코즐로프와 발렌티나 코즐로프 부부,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올레그 프로토포포프와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등 소련 출신 유명 인사들의 서방 망명이 잇따르던 시기에 발생한 사건 중 하나로 여겨졌다.[3][7][8]

그러나 체슈나스가 도르트문트에서 독일어를 공부하던 중 KGB 요원들에게 강제로 소련으로 끌려갔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단순 망명이 아닌 납치 사건이라는 의혹이 불거졌다.[7] 소련 당국은 체슈나스가 우르줄라 포르케르트라는 여성을 만났고, 그녀의 초대로 함께 밤을 보내려다 마약을 맞았다고 주장했다.[3] 또한 소련은 체슈나스가 반공주의 성향의 리투아니아인들과 접촉했으며, 그들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두 달 전이자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1980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선언 6개월 전에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도록 요구했다고 밝혔다.[3]

체슈나스는 이후 본에 있는 소련 대사관을 통해 소련으로 돌아갔는데, 당시 서독의 수석 연방 검사였던 쿠르트 레브만은 체슈나스가 두개골 골절 상태로 감금되어 있었다고 주장했다.[3][7] 일각에서는 소련이 체슈나스의 신병 확보에 민감했던 이유가 그가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소련의 조직적인 도핑 실태를 폭로하는 책을 출판하려 했기 때문일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7] 소련은 이후 이 사건에 대해 체슈나스가 "수상한 무리들과 어울렸다"고 언급하며 파장을 축소하려 했으나, 서독 정부는 그가 납치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양국 간 외교적 긴장을 유발했다.[3]

2002년, 체슈나스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서독에서 자발적으로 돌아왔다고 밝혔으나, 망명 시도에 대한 대가로 소련 관리들로부터 15년간 탄광에서 중노동을 하게 될 것이라는 위협을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다만 모스크바 올림픽 때문에 감금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9] 이 사건의 여파로 체슈나스는 세관원 직위에서 해임되고 어린이 스포츠 학교의 코치로 강등되었으며, 급여는 이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삭감되었다.[9]

3. 2. 소련의 주장과 진실 공방

1979년 서독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 기간 중 관중으로 참석했던 체슈나스는 돌연 사라졌다.[3] 이는 당시 수석 무용수 알렉산드르 고두노프, 레오니드 코즐로프와 발렌티나 코즐로프,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올레그 프로토포포프와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등 소련 유명 인사들의 서방 망명이 이어지던 시기의 첫 사건 중 하나였다.[3][7][8]

체슈나스가 도르트문트에서 독일어를 배우던 중 KGB 요원들에게 발각되어 강제로 소련으로 송환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이에 대해 소련 측은 다른 설명을 내놓았다. 체슈나스가 우르줄라 포르케르트라는 서독 여성에게 속아 마약을 투여당했으며, 이후 반공 성향의 리투아니아인들에게 1980년 하계 올림픽 모스크바 보이콧을 지지하는 연설을 해달라는 압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일어나기 두 달 전, 그리고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이 실제 올림픽 보이콧을 선언하기 6개월 전의 일이었다.[3] 소련은 체슈나스가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결국 본에 있는 소련 대사관을 통해 자발적으로 귀국했다고 발표했다.[3]

그러나 서독 측은 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당시 서독의 수석 연방 검사였던 쿠르트 레브만은 체슈나스가 두개골 골절상을 입은 채 감금되어 있었다고 밝혔다.[3][7] 또한, 소련이 체슈나스의 송환에 적극적이었던 이유 중 하나로 그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을 앞두고 소련 선수들의 도핑 실태에 관한 책을 출판하려 했기 때문일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7] 이후 소련은 사건에 대한 입장을 다소 완화하여 체슈나스가 "수상한 무리들과 어울렸다"고 표현했지만, 서독 정부는 그가 납치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3]

시간이 흘러 2002년, 체슈나스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당시 상황에 대해 직접 입을 열었다. 그는 서독에서 자발적으로 귀국한 것은 사실이지만, 망명을 시도했다는 이유로 소련 당국으로부터 탄광에서 15년간 강제 노역을 해야 할 것이라는 위협을 받았다고 밝혔다. 다만 모스크바 올림픽 때문에 감금되었던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9] 이 사건의 여파로 체슈나스는 기존의 세관원 직위에서 어린이 스포츠 학교의 코치로 강등되었으며, 급여는 이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9]

3. 3. 사건의 배경과 의혹

1979년 서독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 관중으로 참석했던 체슈나스는 대회 도중 사라졌다.[3] 이는 당시 수석 무용수 알렉산드르 고두노프, 레오니드 코즐로프와 발렌티나 코즐로프,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올레그 프로토포포프와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등 유명 소련 인사들의 연쇄적인 망명 사건 중 하나였다.[3][7][8]

그러나 체슈나스가 도르트문트에서 독일어를 배우던 중 KGB 요원들에게 발각되어 강제로 소련으로 송환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소련 당국은 체슈나스가 우르줄라 포르케르트라는 여성에게 속아 마약을 투여받았으며, 이후 반공 성향의 리투아니아인들에게 끌려가 1980년 하계 올림픽 모스크바 보이콧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도록 강요받았다고 발표했다. 이 시점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일어나기 두 달 전이었고,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이 1980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을 공식화하기 여섯 달 전이었다.[3]

체슈나스는 결국 본에 있는 소련 대사관을 통해 소련으로 돌아갔다. 당시 서독의 수석 연방 검사였던 쿠르트 레브만은 체슈나스가 두개골 골절상을 입은 채 감금되어 있었다고 밝혔다.[3][7] 소련이 그의 송환에 민감하게 반응했던 또 다른 이유로, 체슈나스가 1980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소련의 조직적인 도핑 실태를 폭로하는 책을 출판하려 했다는 의혹이 있다.[7] 소련은 이후 이 사건에 대해 체슈나스가 "수상한 무리들과 어울렸다"고 해명하며 의미를 축소하려 했지만, 서독 측은 그가 납치되었다는 입장을 유지했다.[3]

2002년, 체슈나스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서독에서 자발적으로 돌아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소련 관리들로부터 망명 시도에 대한 보복으로 15년간 탄광에서 중노동을 하게 될 것이라는 협박을 받았다고 증언했다. 또한, 모스크바 올림픽 때문에 감금된 것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9] 이 사건의 여파로 체슈나스는 세관원 직위에서 해임되고 어린이 스포츠 학교의 코치로 강등되었으며, 급여는 이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삭감되었다.[9]

4. 선수 경력 이후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리투아니아로부터 두 개의 훈장을 받았다. 이는 비타우타스 십자 훈장(기사의 십자 훈장)과 1월 13일 기념 메달이었다.[10] 2000년에는 1998년 리투아니아에서 만났던 보르케르트가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다.[9] 이후 세관 업무에 복귀하여 2002년부터 리투아니아 세관의 교대조 책임자가 되었다.[9] 그는 또한 소련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월 30USD, 리투아니아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월 120USD의 연금을 받았다.[9]

참조

[1] 웹사이트 Vladas Česiūnas https://www.vle.lt/s[...]
[2] 웹사이트 Sports-reference.com profile https://web.archive.[...] 2008-09-21
[3] 서적 "Canoeing: Men's Canadian Pairs 1000 Meters" Aurum Press Limited 2008
[4] 웹사이트 Photograph of Česiūnas (front of canoe) and Lobanov in action during the 1972 Summer Olympics in Munich. http://visualrian.co[...] 2008-09-21
[5] Webarchive Kamber, Raymond, ed. (2008). Medal Winners – Olympic Games and World Championships (1936–2007) – Part 1: flatwater (now sprint). CanoeICF.com.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pp. 1–41 https://web.archive.[...] 2010-01-05
[6] Webarchive Kamber, Raymond, ed. (2008). Medal Winners – Olympic Games and World Championships (1936–2007) – Part 2: rest of flatwater (now sprint) and remaining canoeing disciplines. CanoeICF.com.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pp. 42–83 https://www.webcitat[...] 2009-11-09
[7] 뉴스 KGB Kidnapping https://web.archive.[...] TIME 1979-10-22
[8] 뉴스 Brouhaha at the Bolshoi https://web.archive.[...] Time 1979-10-01
[9] 웹사이트 APSE Dallas Morning News featuring the September 9, 2002 Los Angeles Times interview with Česiūnas. http://apse.dallasne[...] 2008-09-25
[10] 웹사이트 Lithuanian President decree listing as of June 18, 2004. This list includes Vlaislavis "Vladas" Česiūnas. http://paksas.presid[...] 2008-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